信近於義(신근어의) 有子曰 信近於義 言可復也 恭近於禮 遠恥辱也 유자왈 신근어의 언가복야 공근어례 원치욕야 *유자가 말하길 믿음과 의리가 일치하면 한번 약속한 것은 반드시 지켜야 하며 공손함이 예의와 일치하면 치욕감을 멀리 할 수 있다. *도리에 벗어난 약속이나 신의는 있을 수 없다. 공손한 것.. 논어 알기 2016.05.13
出則弟 謹而信(출즉제 근이신) 子曰 弟子 入則孝 出則弟 謹而信 자왈 제자 입즉효 출즉제 근이신 汎愛衆 而親仁 行有餘力 則以學文 범애중 이친인 행유여력 즉이학문 집에 들어오면 효도로써 부모를 섬기고, 우선 어른을 공손히 섬기며, 언행을 가다듬어 남에게 믿음과 신의를 지키고, 차별을 두지 않고 여러 사람을 .. 논어 알기 2016.05.13
巧言令色 鮮矣仁 (교언영색 선의인) 巧言令色 鮮矣仁 교언영색 선의인 듣기 좋은 말이나 보기 좋게 꾸민 얼굴 중에는 어질고 순박한 사람이 드물다. 지나치게 좋은 말만 늘어놓고, 보기 좋게 얼굴울 꾸민 사람일수록 실속이 없다는 말이다. *기장사람* 논어 알기 2016.05.13
有朋自遠方來 不亦樂乎(유붕자원방래 불역락호) 有朋自遠方來 不亦樂乎 유붕자원방래 불역락호 *생각지도 않은 벗이 먼 곳에서 찾아와 주니 이 어찌 반갑지 않겠는가? *학문을 연구하고 수양을 쌓는 사람은 남의 말에 현혹되지 않고 자신의 뜻을 굳게 지켜나가면 마음이 통하는 친구도 많아지고 자연히 자신의 마음도 즐겁게 된다는 뜻.. 논어 알기 2016.05.13
學而時習之 不亦說乎(학이시습지 불역열호) 學而時習之 不亦說乎 (학이시습지 불역열호) 배우고 때때로 그것을 익히니 어찌 기쁘지 아니한가. *학문이란 배운 내용을 반복하여 익히지 않으면 그 속에 들어 있는 진정한 의미를 터득할 수 없게 된다. *학문의 참뜻을 깨닫는 것이야말로 학문의 가장 큰 기쁨이라고 할 수 있다. 이렇게 .. 논어 알기 2016.05.13
나라를 다스림에 있어 / 논어 알기 子曰 道千乘之國 敬事而信 節用而愛人 使民以時 자왈 도천승지국 경사이신 절용이애인 사민이시 나라를 다스리는 매사,일을 신중히 하고 신뢰를 잃지 말아야 하며, 나라에서 쓰는 비용을 아껴야 하고, 백성을 극진한 사랑으로 대하며, 적절한 때를 가려 백성을 다스려야 한다. 나라를 다.. 논어 알기 2016.05.13
日三省吾身(일삼성오신) / 논어 알기 曾子曰 吾 日三省吾身 爲人謀而不忠乎 증자왈 오 일삼성오신 위인모이불충호 증자가 말하기를, 자신의 잘못을 하루에 세 번씩 반성함은 생활에 보다 발전을 기대할 수 있다. 증자가 말하는 하루 반성의 내용은 다음의 세 가지다. 남과 같이 일을 함에 있어 진심을 다 했는가? 친구와 사귐.. 논어 알기 2016.05.13
君子務本 本立而道生 (군자무본 본입이도생) 君子務本 本立而道生 군자무본 본입이도생 군자는 근본을 세우는데 힘써야 하고 그 근본이 서면 나갈 길이 생겨난다. 무슨 일이든 근본을 파악하는 것이 제일 중요하다. 유학을 근본에 힘쓰는 학문이라 한 것은 곧 효도와 우애가 바로 근본이라고 하는 뜻. 공자의 제자 중 한 사람인 유자.. 논어 알기 2016.03.03